김영동 - 바람의 소리
- Stories.../주저리주저리...
- 2007. 8. 8. 11:46


바람의 소리
훈 [塤] : 국악기 중 토부(土部)에 속하는 공명악기.
훈(壎)이라고도 쓰며 점토를 구워서 만든다.
중국 고대 토기시대의 유물이며 세계 각지에 흩어져 있는 원시적인 악기로 한국에는 1116년(고려 예종 11) 중국 송나라에서 들어왔다.
저울추 ·계란 ·공 등 여러 가지 모양의 것이 있으나 한국의 훈은 저울추 모양에 속한다.
지공(指孔)은 앞에 3개, 뒤에 2개가 있으며 취구(吹口)는 상단에 있다.
음넓이는 황종(黃鐘:C)에서 응종(應鐘:B)까지인 12음을 내며 반규법(半竅法:반만 구멍을 막는 지법)을 사용한다.
음색은 어두운 편이며 낮고 부드러운 소리를 지녔다. 문묘제례악에 쓰이고 있다

이 글을 공유하기